이제는 몸에 익었을만도 한데 아직도 헤매는 제사 지내는 순서.
알고 보면 참 간단한데, 제사 지내는 순서가 여간 쉬운것이 아니다.
제사상 차리는 것부터 제사 지내는 순서까지 신경써야 할 것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.
제사 지내는 순서는 가가례(家家禮) 집집마다 예법에 따라 다르다.
제사지내는 순서 중에서 기본적인 사항을 제외한 간략한 설명만 나열..
1. 분향재배 : 제주가 향을 피우고 2번 절함
2. 강신재배 : 제주가 빈 술잔에 술을 조금만 받아 모사그릇에 3번에 나누어 붓고 2번 절함
3. 참신 : 제주 및 참석자 전원 절함
4. 초헌 : 제주가 처음 술잔 올리고 절함
5. 독축 : 모든 참석자 무릎꿇고 부복하며, 축관 또는 제주가 축문을 읽음. 독축이 끝나면 제주는 2번 절함
6. 아헌 : 2번째 잔을 올림(아헌관)
7. 종헌 : 마지막 잔을 몰림(종헌관)
8. 계반삽시 : 밥 뚜껑을 열고 수저를 밥에 꽂고 젓가락을 음식에 올려 놓는다.
수저와 젓가락은 음식이 닿는 부분이 동쪽을 향하게 한다. 신위께서 오른손잡이라 생각하면 됨.
9. 유식(첨작) : 술을 조금 따라 술잔에 채운다.
10. 합문 : 신위께서 음식을 드실 수 있도록 잠시 마루에서 기다리거나 뒤돌아 서 있는다.
(밥을 9숟가락 떠 먹을 수 있는 시간 동안)
11. 계문 : 제주가 헛기침을 하고 참석자를 데리고 들어간다.
12. 헌다 : 국을 내리고 그자리에 숭늉을 올린다. 밥을 조금씩 3번 떠서 숭늉에 말아 넣는다.
13. 철시복반 : 숫가락과 젓가락을 거두고 밥뚜껑을 닫는다.
14. 사신 : 제사의 마지막 순서 , 참석자 모두 2번 절하고 지방과 축문을 불태운다.
15. 음복 : 제주 등 참석자가 제사상위의 술과 음식을 먹는다.
16. 철상 : 제사상을 치우고 식사 준비를 한다.
설과 추석등 명절에는 참신 이후에 계반삽시가 순서다.
명절에는 독축은 생략...
'티켓토리의 라이프 > 일상다반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강아지 아장아장..어머~귀여워~~ (0) | 2013.08.22 |
---|---|
티비 싸게사는 방법, 역시 직구뿐인가? (0) | 2013.08.21 |
LG전자 G2 풍선이벤트 (0) | 2013.08.09 |
오랜만에 충무김밥 (0) | 2013.08.09 |
가볍긴 한 칸투칸 아쿠아슈즈 k740 (0) | 2013.08.07 |